본문 바로가기

정보

밥솥 버리는 방법, 전기밥솥과 직화밥솥은 처리법이 달라요

고장 나거나 오래된 밥솥, 어떻게 버려야 할지 고민되신 적 있으신가요?
특히 전기밥솥은 금속, 플라스틱, 전자부품이 함께 들어 있어 처리 방법이 헷갈리기 쉽습니다.
직화용 밥솥과도 처리 방식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잘못 버리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도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밥솥의 종류별로 올바르게 폐기하는 방법을 정확하고 쉽게 알려드릴게요.
버리기 전 꼭 확인하고, 깔끔하게 정리해 보세요.

밥솥, 종류에 따라 폐기 방법이 다릅니다

겉보기엔 다 비슷해 보여도, 전기밥솥과 직화용 밥솥은 구성과 재질이 다르기 때문에 처리 방법도 달라요.
잘못 분류해 버릴 경우 생활쓰레기 투기, 불법 배출로 간주되어 과태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현관 앞 바닥에 전기 플러그가 달린 낡은 전기밥솥과 스테인리스 냄비가 나란히 놓여 있고, 밥솥 앞면에는 메모지가 붙어 있으며 뒷편에는 신문지가 깔려 있는 모습
현관 앞에 놓인 오래된 전기밥솥과 냄비, 처리 전 정리된 모습

1. 전기밥솥 버리는 방법

전기밥솥은 대형가전(냉장고, 세탁기 등)과 달리, 밥솥의 크기가 작아 대부분 소형가전으로 분류됩니다.
소형가전은 보통 무상수거 대상이 아니며, 대형가전과 함께 배출하지 않으면 무료 수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대형폐기물 스티커를 부착하거나, 재활용센터에 직접 가져가는 방법이 가장 현실적이에요.

최근에는 지자체마다 소형가전 전용 수거함을 운영하기도 하니, 해당 지자체 홈페이지나 주민센터에 문의해 보시는 것도 추천드려요.
단, 포트나 가습기, 전기밥솥 등은 내용물을 완전히 비우고, 코드선은 정리해서 배출해야 합니다.

전기밥솥은 전자제품 폐기물로 분류되며, 일반 쓰레기나 종량제 봉투에 넣어서는 안 됩니다.

다음 중 하나를 선택하세요.

- 폐가전 무상수거 서비스 이용
환경부에서 운영하는 폐가전 무상수거 서비스를 신청하면, 무료로 수거해 갑니다.
단, 전기밥솥은 단독 수거가 불가능해 TV, 세탁기, 냉장고 등과 함께 배출 시만 가능해요.

- 동 주민센터 또는 구청에 대형폐기물 신고
각 지자체 대형폐기물 배출 시스템에 온라인, 오프라인으로 접수한 후, 폐기물 스티커를 부착해 지정 장소에 배출해야 합니다.
수수료는 지역에 따라 1,000~3,000원 정도입니다.

- 고물상 또는 전자제품 수거함에 배출
상태가 양호한 경우 중고 전자제품 취급 고물상에서 수거해 가기도 합니다.
단, 내부 전선이나 고장 여부에 따라 거부될 수도 있으니 문의를 먼저 해주세요.

2. 직화밥솥 버리는 방법

직화 밥솥(냄비형)은 금속재질이 주로 사용되며, 전자부품이 없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 고물상 또는 재활용센터에 배출
주로 고철류로 분류되어 고물상이나 동네 재활용장에 가져가면 무료 또는 소액으로 처리 가능합니다.

- 재활용 쓰레기 배출일에 맞춰 분리배출
금속류 배출일에 맞춰 비닐이나 플라스틱 부품은 분리 후 배출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주의해야 할 점

- 전기밥솥은 일반 종량제 봉투에 절대 넣으면 안 됩니다.

- 재질별로 분리해 배출할 수 없는 경우엔 대형폐기물로 간주됩니다.

- 지자체마다 수거 기준과 요금이 다르니 사전에 해당 관할 구청이나 앱에서 확인하세요.

참고하면 좋은 사이트

- 폐가전 무상수거 신청: www.15990903.or.kr 

마무리하며

밥솥 하나 버리는 데도 생각보다 신경 써야 할 부분이 많죠.
전기밥솥은 소형가전으로 또는 대형폐기물로 직화밥솥은 금속 재활용으로 처리 방식이 다르니, 종류별로 잘 구분해서 배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확한 정보를 알고 실천하면 불필요한 과태료도 피할 수 있어요.
지금 우리 집 주방에 버려야 하는 안 쓰는 밥솥이 있다면, 이번 기회에 꼭 처리해 보시는 것은 어떠세요?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반짝이는 주방용품 속 숨은 진실, 연마제(광택제) 제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