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은 아플 때 꼭 필요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어느 순간 유통기한 지난 약이 집안 곳곳에 쌓여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냥 쓰레기통에 버려도 될 것 같지만, 이렇게 버리면 환경오염은 물론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어요.
가족의 건강을 위해 먹는 약은 버릴 때도 올바른 방법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누구나 실천할 수 있는 유통기한 지난 약 처리법을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유통기한 지난 약, 그냥 버리면 안 되는 이유
약은 특수한 화학물질로 만들어져 있어 일반 쓰레기처럼 배출하면 토양과 수질 오염의 원인이 됩니다.
하수구에 흘려보내는 것도 마찬가지로 위험해요.
정수 과정에서도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환경과 인체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항생제와 호르몬제는 잔류 시 생태계 교란까지 초래할 수 있어요.
유통기한 지난 약, 안전하게 처리하는 방법
올바른 폐기를 위해선 아래와 같은 방법을 기억해 주세요.
- 약국 또는 보건소 수거함 이용
대부분의 지역 약국이나 보건소에 폐의약품 수거함이 비치되어 있어요.
복용하지 않거나 유통기한이 지난 약은 모아두었다가 이곳에 가져가면 됩니다.
- 약은 종류별로 분리해서 폐기
알약, 캡슐: 포장에서 꺼내 낱알만 모아 투약 봉투 등에 넣기
물약, 시럽제: 병째 버리지 말고 내용물은 비닐에 모아 묶고, 용기는 비우고 플라스틱이나 유리로 분리배출
연고, 패치류: 뚜껑 닫은 채 밀봉 후 폐기물 수거함에 넣기
- 절대 하지 말아야 할 폐기법
변기나 싱크대에 약물 흘려보내기
일반 쓰레기와 함께 버리기
폐의약품 수거함, 한눈에 찾는 법
전국 대부분의 약국, 보건소, 일부 주민센터에 폐의약품 수거함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구 폐의약품 수거함 위치로 검색하면 지도 기반의 안내 페이지를 찾을 수 있어요.
약을 버릴 때는 약사에게 문의하거나 근처 약국에 확인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2025년 9월 10일 현재 최신 정보 업데이트 합니다.
약국에서 진행하고 있던 폐의약품 수거는 지금은 하지 않고 있습니다.
주민센터로 방문하시거나, 폐의약품이 소량일 경우 종이봉투에 담아 봉인한 후 겉면에 폐의약품이라고 기재해서 빨간 우체통에 넣는 방법이 있어요.
건강 지키려면, 꼭 확인할 약의 종류
다음 약들은 특히 유통기한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 항생제: 일정 기간 지나면 오히려 독성 물질로 변할 수 있어요
- 안약: 개봉 후 1개월 이상 보관하면 균 증식 위험
- 액상 시럽: 침전물 생기면 절대 복용 금지
- 연고, 크림: 유통기한 지나면 피부 트러블 유발 가능
- 패치, 붙이는 약: 효과 감소 + 부작용 위험
약은 보관도 중요합니다
폐기만큼 중요한 것이 약 보관 방법이에요.
습기와 열에 약 성분이 분해될 수 있으니, 햇빛이 들지 않는 서늘한 장소에 밀봉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약 포장에 복용 시기나 용도를 표시해 두면 유통기한 관리도 쉬워집니다.
환경과 건강을 지키는 실천
우리 집 약통 속, 오래된 약을 그냥 방치하지 말고 오늘 정리해 보시는 것은 어떠세요?
소중한 가족의 건강은 물론,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까지 함께 지킬 수 있습니다.
아주 간단한 작은 실천으로 더 나은 일상을 만들어 갈 수 있어요.
마무리하며
유통기한이 지난 약은 쓰레기가 아닌 관리 대상입니다.
무심코 버리기 쉬운 순간에도, 환경, 그리고 나와 소중한 가족 더 나아가 타인의 건강을 생각하는 작은 실천을 기억해 주세요.
오늘은 집안 약통 속에 쌓여 있는 약 정리를 시작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생활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통기한 지난 밀가루, 부침가루, 튀김가루, 버리지 말고 이렇게 써보세요 (0) | 2025.09.10 |
---|---|
이불 버리는 방법, 그냥 버리면 과태료? 소재별 정확한 분리수거법 (0) | 2025.09.07 |
선풍기버리는방법 모르면 벌금? 꼭 알아야 할 폐기 꿀팁 (0) | 2025.09.04 |
식용 베이킹소다, 청소용과 구분하셨나요? 제대로 쓰는 방법 총정리 (0) | 2025.08.28 |
커피 포트 물때 제거, 찌든 석회질까지 말끔히 없애는 법 (0) | 2025.08.23 |